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산업 동향5

[환경 규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계획 신규 발표 - CO2배출량 기준 변경 / 내연차 판매 금지 / 수입 관세 부과 / 충전 인프라 구축 안녕하세요, 말하는 대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EU 집행위원회가 지난 7월에 발표한 온실 가스 배출량 감소를 위한 계획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요약** 위원회는 2030년까지 차량에서 배출되는 CO2 배출량을 55%로 줄이고 2035년까지 하이브리드 자동차(HEV)를 포함한 내연 기관으로 구동되는 신차 판매를 전면 금지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또한, 전기차(EV) 및 연료전지차(FCEV)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기 충전과 수소연료 보급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규정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제안은 승인 전, 회원국과의 조정 과정을 거쳐 유럽 의회에서 논의될 예정입니다. **온실 가스 배출량 감소를 위한 계획 일부** CO2 배출량 감축 목표 본질적인 온실 가스 배출 목표를 0으로 설정하.. 2021. 8. 27.
[반도체/자동차] 반도체 부족 현상 및 자동차 산업이 반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 안녕하세요, 말하는 대로입니다. 최근 전 세계적인 반도체 부족 현상은 자동차 분야뿐만 아니라 모든 응용 분야에서 대두되고 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를 제외한 거의 모든 반도체 제품이 공급이 부족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주로 엔진 제어를 위한 차량용 마이크로컨트롤러, 모터 제어를 위한 전력반도체가 부족하여 자동차 제조사들을 수급을 정상화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이미 몇 완성차 업체는 차량용 반도체 내재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전기차 시장의 급격하게 성장하던 중에 일어난 반도체 부족 현상은 차량의 전동화 추세에 직접적인 문제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이번 반도체 부족 사태는 반도체 산업이 자동차 산업에 영향울 주는 관계임을 실감하게 했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글에서는.. 2021. 8. 26.
[Tesla VS Apple] 테슬라와 애플의 전기차 부품 수급 전략 비교 및 차량 반도체 제조 트랜드 변화 안녕하세요, 말하는 대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 산업에서의 반도체 수급 전략의 변화와 애플과 테슬라의 전기차 부품 조달 전략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자동차 산업의 반도체 수급 전략 변화** 과거 완성차 업체들은 모든 반도체를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업체)에 위탁생산하지 않고 자체 공장에서 IDM(수직통합반도체장치제조업체)이 공급하는 형태였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차량용 마이크로컨트롤러 공급은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TSMC(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Company, Limited)의 협력 없이는 턱없이 부족할 정도입니다. 게다가 자동차의주동력원이 엔진에서 전기 모터로 바뀌고, 자율주행 플랫폼 적용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반도체가 필요해질 것입.. 2021. 8. 25.
V2X 무선 통신으로 자율주행차 이용자의 안전을 더하다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안전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V2X는 차량과 다른 차량, 차도, 인프라, 보행자 등의 정보를 공유하거나 사용자에게 주위 사물과의 충돌과 같은 위험 요소를 알려주는 통신 기술입니다. 현재 V2X 글로벌 수요 연간 성장률은 2027년까지 약 85%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V2X 통신의 종류** 위에 언급한 것처럼 V2X를 V2V(Vehicle-to-Vehicle), V2P(Vehicle-to-Pedestrian), V2I(Vehicle-to-Infrastructure)로 나눌 수 있습니다. V2V 통신은 주변 차량의 위치와 속도에 대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교환하여 차량 내의 인포테인먼트 등을 통해 시각, 청각적 경고를 줍니다. 또한, .. 2021. 8. 23.
[전기차 산업] OEM별 전기차 플랫폼 개발 현황 - 테슬라/폭스바겐/아우디/포르쉐/벤츠/BMW/GM/현대자동차 안녕하세요, 말하는 대로입니다. 이번에는 대표적인 OEM의 전기차 플랫폼 개발 현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플랫폼이란? 한마디로 '차량의 뼈대 및 부품들의 배치'를 말합니다. 2010년대까지는 차량마다 개별 플랫폼을 적용했다면 이후부터는 과도한 플랫폼 개발 비용을 줄이기 위해 차량별 플랫폼 통합을 시도하게 됐습니다. 플랫폼 통합이 이루어지면 부품 통합으로 인한 원가 절감과 함께, 단축된 개발 기간으로 인한 투자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참고** 폭스바겐은 처음 플랫폼을 통합시킨 OEM입니다. 내연 기관 차량, 차종 상관없이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한 MQB 플랫폼을 개발했습니다. 폭스바겐 그룹의 계열사 제품인 아우디 A3, 포르쉐 티구안, 폭스바겐 골프 등에도 같은 플랫폼을 적용.. 2021. 8.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