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 동향

[전기차 산업] OEM별 전기차 플랫폼 개발 현황 - 테슬라/폭스바겐/아우디/포르쉐/벤츠/BMW/GM/현대자동차

by 말하는 대로 2021. 8. 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말하는 대로입니다.

이번에는 대표적인 OEM의 전기차 플랫폼 개발 현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플랫폼이란?

한마디로 '차량의 뼈대 및 부품들의 배치'를 말합니다. 2010년대까지는 차량마다 개별 플랫폼을 적용했다면 이후부터는 과도한 플랫폼 개발 비용을 줄이기 위해 차량별 플랫폼 통합을 시도하게 됐습니다. 플랫폼 통합이 이루어지면 부품 통합으로 인한 원가 절감과 함께, 단축된 개발 기간으로 인한 투자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폭스바겐 그룹 MQB 플랫폼 (출처: 엔카메거진)  

 

**참고**

폭스바겐은 처음 플랫폼을 통합시킨 OEM입니다. 내연 기관 차량, 차종 상관없이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한 MQB 플랫폼을 개발했습니다. 폭스바겐 그룹의 계열사 제품인 아우디 A3, 포르쉐 티구안, 폭스바겐 골프 등에도 같은 플랫폼을 적용했습니다. 


2. 전기차 플랫폼이란?

 

전기차를 개발/출시하기 시작한 초반에는 내연차의 플랫폼을 응용하여 전기차를 제작했지만, 현재는 전기차 판매량 급증과 탄소 배출 규제 강화로 인해 각 OEM에서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전기차는 내연차와 달리 부품수가 현저히 적지만 200 kg에 달하는 배터리로 인해 중량이 큽니다. 전기차 플랫폼은 이런 전기차의 특징을 고려하여 주행 환경에 맞게 무게중심 및 배터리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습니다. 

 

현대자동차 E-GMP 플랫폼 (출처: HMG저널)

 


3. OEM별 플랫폼

3-1. Tesla 테슬라

 

테슬라는 표준화된 전기차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Model S (세단)와 Model X (SUV)가 동일한 플랫폼을 공유하며, Model 3 (세단)와 Model Y (SUV)가 동일한 플랫폼을 공유합니다.

테슬라 모델S 플랫폼 (출처: Tesla)
테슬라 모델3 플랫폼 (출처: Electrek)

**참고**

2020년 테슬라 배터리 데이에서 엘론머스크는 항공기의 연료탱크가 날개 내부의 불필요한 공간을 없애고 내부 전체를 연료로 채우는 컨셉을 예로 들며, 배터리팩과 샤시를 일체화하는 Cell to Chassis 개념으로 플랫폼 혁명을 계속할 것임을 예고했습니다. 

 

 

3-2. 폭스바겐 그룹(VW, Audi, Porsche)

 

폭스바겐 그룹에서 개발한 플랫폼과 적용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MLB evo (모듈형 종 방향 플랫폼)

아우디의 첫 전기차 전용 모델인 e-트론에 쓰인 플랫폼으로, 기존 아우디의 내연차 SUV모델(Q5, Q7, Q8)과 같은 플랫폼을 바탕으로 한 플랫폼입니다. 

 

MEB (모듈형 전기차 플랫폼)

폭스바겐 ID.3 ID.4, 아우디 Q4 e-트론에 적용된 전기차 전용 플랫폼입니다. 

 

J1 (퍼포먼스 플랫폼)

아우디 e-트론 GT에 적용된 스포츠 드라이빙 전용 플랫폼입니다.

 

PPE (프리미엄 전기차 플랫폼)

포르쉐 Taycan에 적용된 플랫폼입니다. MEB 플랫폼과 J1플랫폼의 강점을 결합한 프리미엄 전기차 전용 플랫폼으로, 고객의 요구에 따라 모터와 배터리를 자유롭게 추가할 수 있는 유연한 플랫폼입니다. 세단부터 SUV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델에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폭스바겐 그룹 플랫폼 (출처: 폭스바겐 코리아)

 

3-3. 다임러 그룹(Mercedes Benz)

 

벤츠MEA(EVA2) 플랫폼을 개발했으며, 최근 출시되어 큰 인기를 얻고 있는 EQA와 EQB에 적용되었습니다.  

또한, 차세대 플랫폼인 eSprinter를 공개하며 상업용 전기차에 대한 방향성을 보였습니다.  

벤츠 EQA (MEA 플랫폼) (출처: 다임러)
다임러 eSprinter 플랫폼 (출처: 다임러) 

 

3-4. BMW

 

BMW는 현재 전기차 전용 플랫폼은 없지만, 2025년에 전기차 전용 플랫폼 뉴 클래스(Neue Klasse) 출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3-5. GM(Cadillac, GMC)

 

GM은 BEV3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개발했으며, 캐딜락 SUV 리릭GMC SUV 허머에 적용됐습니다. 

이 플랫폼을 이용하여 2023년까지 최대 22종의 전기차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캐딜락 Lyriq (BEV3 플랫폼) (출처: 캐딜락)

 

3-6. 현대자동차 그룹

현대자동차 그룹은 E-GMP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개발했습니다. 현재 현대차 아이오닉5 기아 EV6에 적용되었으며, 뒤이어 출시될 제네시스 EV에도 적용될 예정입니다. 

또한, 현대자동차 그룹은 승용차 플랫폼뿐만 아니라 상용차 플랫폼 개발을 위해 미국 카누와 협력하고 있으며 영국 어라이벌에도 지분 투자를 진행 중입니다. 

 

현대차 아이오닉5 (E-GMP 플랫폼) (출처: 현대자동차그룹)


 

지금까지 간단히 OEM별 전기차 플랫폼 개발 현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최근 각 OEM에서 순수 전기차 모델을 잇따라 출시하고, 이에 따른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전용 플랫폼 개발은 전기차 경쟁력 확보를 위해 중요한 부분입니다. 현재 테슬라가 Cell to Chassis 개념의 전기차 플랫폼 개발 계획을 공개하면서 다른 OEM들도 덩달아 개발을 추진하는 가운데, 과연 다음 혁신적인 전기차 플랫폼을 제시할 OEM은 누가 될지 기대가 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