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재산세의 종류와 재산세 절감 방안 - 토지재산세/건물재산세/주택재산세

by 말하는 대로 2021. 8. 7.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말하는 대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산세의 종류와 절감 방안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재산세 개요

2. 재산세 종류

-토지재산세

-건물재산세

-주택재산세

3. 재산세 절감 방안

-토지재산세 절감 방안

-건물재산세 절감 방안

-주택재산세 절감 방안

 

1. 재산세 개요

재산세란?

납세자가 소유한 재산의 경제적 교환가치에 담세력을 두어 과세하는 조세입니다.

 

 


 

2. 재산세 종류

2-1. 토지재산세

 

토지 재산세란?

토지의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세금으로써 종합합산/별도합산/분리과세로 구분되어 부과됩니다. 

 

**참고**

1. 토지의 도시지역 여부는 토지 이음 사이트에서 지번 입력 후 조회 가능합니다.

2. 세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2-2. 건물재산세

 

건물재산세란?

건물의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세금으로써 부수시설물을 포함한 조세입니다. 

 

 

**참고**

1. 건축물 시가표준액의 경우 Wetax (서울의 경우 Etax) 에서 조회 가능 

2.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등에서 연도별 시가표준액 조정기준 확인 가능

 

 

 

2-3. 주택재산세

 

주택제산세란?

주택의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세금으로써 주거 이외 부분은 제외된 과세입니다.

 

**참고**

주택 재산세에 해당하는 경우 토지와 건물 재산세에서는 제외됩니다. (이중과세 방지)

 

 


 

 

3. 재산세 절감 방안

3-1. 토지 재산세 절감 방안

 

토지 재산세 절감 방안은 공시지가 이의신청을 통한 세액 경감입니다.

 

3-2. 건물 재산세 절감 방안

 

건물 재산세 절감 방안은 과세내역서 점검을 통한 부과내역 점검입니다.

신축 건물의 경우 잘못 부과되는 적으나, 구축 건물의 경우 시가표준액 산정 오류가 잦습니다. 따라서 과세내역서 내의 시가표준액 관련 사항 점검 필요합니다. (구조/용도/위치 등)

※ 지자체 문의 시 건축물 재산세 과세내역서 수령 가능합니다.

 

 

3-3. 주택 재산세 절감 방안

 

주택 재산세 절감 방안은 공시지가 이의신청을 통한 세액 경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보유한 재산에 대해 부과되는 재산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일반적인 내용들을 위주로 다룬 글이며 최근 부동산 관련 법 개정이 잦기 때문에 구제적인 내용들은 관련 사이트에서 확인하시길 추천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